Open extra topbar

영화 ‘밍크코트’를 보고

영화 ‘밍크코트’를 보고

(2013년 회지 “평화의울림“에 개제된 글입니다)

고선화고선화

‘밍크코트’ 이 영화는 ‘연명치료중단’이라는 무거운 현실적인 문제에 직면하면서 기독교 가족 내에서의 질투, 시기, 무관심 그리고 갈등과 그 해결책으로 제시되는 이해 소통, 사랑, 그리고 화해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좀더 시야를 넓혀서 보자면 가족관계뿐만이 아니라 자신의 인간관계에서 발견되고 있는 문제들을 보게 한다.

현실의 어려운 문제와 직면했을 때 그리고 감추고 싶었던 사실이 드러났을 때 우리는 수치심, 당혹감과 분노 등을 느낄 수 있다. 결국 진면모가 드러났을 때, 그 무게를 잘 감당하고 밝혀진 비밀의 무거운 진실 앞에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기에 무너질 수 밖에 없고, 분노하고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한다.

‘밍크코트’는 탐욕, 부와 부정적인 허영의 상징적인 의미이다.

영화를 보면서 나 역시 이 상징적인 밍크코트를 입고 끊임없이 현실을 외면하고, 사실을 왜곡시키면서 살고자 하는 자신을 바라보게 한다.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보다는 내 마음 속에 있는 미움, 질투, 의심, 상처, 내가 저지른 일 등의 현실을 감추면서 살기 위하여 나에게도 밍크코트가 그리고 신앙이 필요한 것은 아닌지 반추해 볼 수 있는 영화이다. 영화의 스토리만 따라가다 보면 그저 그렇다고 볼 수도 있지만 영화 속의 주인공들의 감정에 이입되어 가다 보면 마치 어떤 경우는 나의 감정을 대신 토해내는 듯하기도 하다. 그래서 이 영화의 시작은 내내 무거움으로 전율하게 한다. 나의 문제는 무엇인가? 나에게 있어서 가족은 어떤 존재인가? 나의 신앙은 어디를 향해서 가고 있는가?

물론 영화가 끝까지 무겁지만은 않다. 따뜻함이 있는 영화이다.

극중에서 밍크코트는 가난한 현순, 넉넉하게 사는 언니 명순, 그리고 남동생의 처 경숙의 경제적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 주는 소품이지만, 현순의 어머니는 부자 딸이 사준 밍크코트를 우유 배달을 하며 힘들게 살아가는 가난한 딸 현순에게 몰래 벗어 준다. 현순은 자신의 딸 수진이 돈이 필요하다고 하자 그 밍크코트를 팔아 돈을 마련해 준다. 어머니의 밍크코트는 잠시나마 가난한 딸에게 따뜻함을 전해 주고 또 그 딸의 딸에게 필요한 양식이 된다. 이처럼 밍크코트는 모녀 삼대를 이어 주는 따뜻한 사랑이 된다.

어머니의 연명치료중단이라는 문제에 부딪혔을 때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도 알 수 없는 이 가족의 반목과 질시와 갈등이 극에 달한다. 허울만 좋게 밍크코트를 걸쳤을 뿐 그것으로 가려진 현실은 신앙으로도 극복 할 수 없는 갈등의 고조를 이룬다. 그러나 갈등이 고조를 이루고 현실을 직면하게 되었을 때 이 가족은 입고 있던 밍크코트를 벗고 자신들이 숨겨 온 것들을 고백하게 된다.

어머니의 연명치료중단을 결정하는 문제를 놓고 동의와 반대의 입장의 씬을 보면 우리는 지극히 자기가 처한 현실을 반영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경제적인 이유로 어머니의 존엄사를 원했던 가족에게 분노하고 막말로 저주까지 했던 현순도 결국 자신의 딸의 생명을 위해서는 어머니의 존엄사를 원하게 된다.. 이에 명순이 분노하고, 경숙 역시 자신의 친정 어머니였다면 연명치료 중단을 원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한다. 이처럼 인간은 철저히 자기 중심적이라는 것을 이 영화는 부인하지 않게 한다.

가족이라는 것이 남들에게 자랑하고 싶다가도 한편으로는 한없이 무거운 삶의 업보이며 때로는 그 어떤 풍파도 막아 줄 따듯한 울타리지만 벗어나고 싶어도 벗어 날 수 없는 핏줄로 견고하게 얽힌 덤블가시처럼 잔인한 감옥일 수 있음은 역설하고 있다. 이처럼 가족의 속살을 들여다 볼 수 있게 하는 이 영화는 더 가깝게는 나의 속살을 먼저 들여다 보라고 말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오랫동안 형제를 증오하면서 현순이 드렸던 기도는 방언이었지만, 딸 수진의 생명이 위태로움에직면했을 때는 모든 믿음과 희망이 부숴지고 절망만이 남았고 아무것도 없는 컴컴한 옥상에 홀로 올라 그녀가 신에게 드렸던 기도는 진심으로 자신을 고백하고 회개하는 기도였다.

이 영화를 보면서 나는 현순과 수진의 감정에 가장 밀도 있게 몰입이 되었지만,영화를 보고 난 후에는 잔잔한 여운을 남기는 씬은 할머니가 수진의 꿈에 나타나 ‘내가 너의 아빠와 엄마를 용서 한 것은 너를 보고 난 후다. 현순에게 잘해라. 하면서 할머니는 사라지시는 씬이다.

할머니의 밍크코트가 엄마와 수진에게 따뜻한 사랑이 되고, 할머니의 존엄사 문제로 인해 가족들은 갈등의 고조를 맞이하고 결국 현실과 마주하게 되며 사실이 노출 되게 되었지만 결국 할머니는 수진에게 수혈을 하고 존엄한 죽음을 맞게 되는 가족간의 갈등을 해결하는 구원자였다..

이 영화의 키워드가 가족이었지만 기독교를 매개체로 함축된 영화로 신앙에 대해서도 현실적으로 마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우리의 신앙은 이 밍크코트 안에 감춰진 신앙의 현실을 어떻게 할 것인가? 질문해 보아야 한다. 이 가족의 구원자이셨던 할머니가 다 용서했다고 말했듯이 우리 신앙의 구원자이신 예수님의 가르침은 무엇인가? 마땅히 용서하고 화해하고 더블어 함께 나누는 평화의 삶이 아닌가?

Comments:0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