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extra topbar

황제의 강을 건너는 사람들

황제의 강을 건너는 사람들

(2013년 회지 “평화의울림“에 개제된 글입니다)

이만섭이만섭

세상이 만들어지기 전 우주는 혼돈의 상태였다. 혼돈, 카오스, 암흑, 그것은 무질서의 상태가 아니다. 오히려 혼돈은 잠재질서라고 표현해야 맞다. 그것은 잠재성이다. 아직 ‘무엇’이라고 정의하여 부를 수는 없지만, 무엇으로도 될 수 있는 무한한 잠재성이다. 이런 의미에서 혼돈은 현대 천체물리학의 빅뱅이론과도 맞닿아 있다. 아직 분화되기 이전의 우주는 체적은 제로에 가까우면서도 질량은 무한대인 암흑의 상태였다. 그런 암흑의 상태가 현재와 같은 우주의 모습으로 진화되기 까지는 물론 137억년이라는 세월이 흐르기는 했지만, 어쨌든 그 시발점은 암흑상태였다.

신의 입자라고 불리는 ‘힉스’라는 것이 있다. 복잡한 천체물리학적 설명을 잘 해낼 수는 없지만,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빅뱅 당시 암흑물질을 변화시켜 현재의 우주로 진화할 수 있게 한 입자라는 것이다. 힉스는 질량이 없던 다른 입자에 질량을 주고는 자신은 홀연히 사라져 버렸다고 한다. 천체물리학자들은 힉스 입자가 발견되면 그 동안 밝혀지지 않고 있던 우주 탄생의 비밀이 어느 정도는 해소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류는 오래 동안 우주가 어떻게 태어났는 지 설명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우려 왔다. 여기에 인류가 쌓아온 온갖 지식이 동원됐으며, 과학 그 중에서도 물리학이 그 핵심에 있다.

그런데 힉스가 ‘발견’되면 정말로 우주 탄생의 비밀이 밝혀지는 것일까? ‘그렇지는 않다’는 것이 과학자들의 설명이다. 힉스가 발견되면 현대 물리학의 기초가 되는 ‘표준이론’은 완성되지만, 표준이론이 모든 물리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궁극의 이론은 아니기 때문에, 힉스는 또 다른 물리이론을 요청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주 탄생의 비밀은 밝혀지지 않은 채 여전히 신비로 남을 것이다. 다만 좀 더 핵심에 가까워질 뿐이다.

아주 오래 전, 우리의 선조들도 우주의 탄생에 대하여 이와 비슷한 생각을 했던 것 같다.
다음의 이야기는 중국의 창세신화를 재구성한 것이다. 여러 곳에 전해져 내려오는 것을 나름대로 재구성하였다. 물론 창세신화가 중국에서만 전해 내려오는 것은 아니다. 한국에도 있고, 일본에도 있다. 그리고 이집트나 바벨론 등 고대 근동 지역의 창세신화는 많이 알려져 있다. 말할 것도 없이 히브리 성경에 등장하는 창조 이야기도 여기에 속한다. 이들 신화의 근본적인 공통점은 질서의 출발점을 카오스에 두고 있다는 것이다.

옛날 옛날 아주 오래된 옛날, 웃기는 녀석이 하나 있었다. 생긴 것도 웃기고, 하는 짓도 웃긴 것이 정말로 웃기는 녀석이다. 그 녀석은 몸은 하나요, 다리는 여섯에, 날개가 넷인데, 머리가 없었다. 전체적으로 불그레하여 얼핏 보면 달걀 같기도 하고, 또 얼핏 보면 새 같기도 하지만, 날개 달린 것을 빼면 새라고 하기에는 좀 뭐하다. 그래도 사람들은 이 녀석을 새라고 불렀다. 머리가 없으니 당연히 눈. 코. 귀. 입이 없어 냄새도 맡지 못하고, 보지도 못할 뿐만 아니라, 듣지도 못하고 말도 못한다. 정말 웃기지 않은가! 더 웃기는 것은 이 녀석이 노래도 잘 하고 춤도 잘 춘다는 것이다. 어떻게? 그건 나도 모르겠다. 여하튼 춤과 노래를 할 줄 아는 것만이 아니라 좋아한다는 것이다. 생각할수록 말이 안되지만 그런 녀석이 있었다. 그의 이름은 ‘황제의 강(帝江)’이라고 하였다.

세월이 흘러 ‘황제의 강’은 어찌어찌 하다 세상의 중앙을 다스리는 임금이 되었다. 그리고 새로운 친구도 생겼다. 하나는 남녘 바다를 다스리는 ‘빠름(儵)’이라는 친구요, 또 하나는 북녘 바다를 다스리는 ‘잠깐(忽)’이라는 친구다. 빠름과 잠깐은 종종 ‘황제의 강’이 사는 마을에 놀러 갔는데, 그 때 마다 그는 자신들을 극진하게 대접하고는 했다. 이들은 모였다 하면 노래요, 춤이다. 그리고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에 밤이 새는 줄도 몰랐다. 이렇게 그들의 우정은 쌓여만 갔다. 흠, 그래 우정은 쌓일수록 좋은 것이지! 그러던 어느 날 빠름과 잠깐은 ‘황제의 강’ 덕분에 세상 사는 재미가 쏠쏠하니, 그에게 무엇인가 선물을 해서 그의 은혜에 답하고 싶었다. 둘은 머리를 맞대고 한참 동안이나 상의에 상의를 거듭하였다. 그들에게 기가 막힌 생각이 떠올랐다. “그래, 그에게 세상을 주자!” 사실 그가 세상을 다스린다고는 하지만, 볼 수도, 들을 수도, 그렇다고 말을 할 수도 없는 딱한 처지였던 반면에 자신들은 몸에 일곱 개의 구멍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세상의 온갖 말을 들을 수도 있고, 할 수도 있었다. 세상의 온갖 맛난 냄새를 맡을 수도 있었다. 세상의 아름다운 풍광들, 경치, 아침에 떠오르는 그 아름다운 경치도 볼 수 있었다. 마음만 먹으면 모든 감각적인 삶을 마음껏 누릴 수 있었다. 그런데 친절한 자신들의 친구 ‘황제의 강’은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생각이 들자 친구를 위해서 무엇인가 해줘야 한다는 의무감이 몰려왔다. 그래서 내린 결론은 ‘황제의 강’에게 일곱 개의 구멍을 선물하자는 것이다. “그도 이제 세상을 즐길 권리가 있는 거야!”

‘빠름’과 ‘잠깐’은 ‘황제의 강’에게 ‘일곱 개의 구멍’을 선물할 생각에 들떠서 잠도 자지 못했다. 하루바삐 그에게 가고 싶어 병이 날 지경이었다. 그들이 드디어 ‘황제의 강’이 사는 마을에 도착했다. ‘빠름’과 ‘잠깐’은 ‘황제의 강’의 몸에 하루에 한 개씩 모두 일곱 개의 구멍을 뚫기로 하고 첫째 날에 구멍 한 개를 뚫었다. 둘째 날이 되자 그들은 두 번째 구멍을 뚫었고, 셋째 날에는 세 번째 구멍을……그리고 마침내 제 칠 일이 되자 ‘황제의 강’의 몸에는 모두 일곱 개의 구멍이 생기게 되었다. 이제 그들의 선물이 완성되었다. 도대체 말도 되지 않는 웃기는 녀석의 몸에 제대로 자리를 잡아 일곱 개의 구멍을 선물했으니, 그 녀석의 모습은 이제 보기에 웃기지도 않고, 있을 자리에 모든 것이 있는 제대로 된 모습을 하고 있게 되었다. 더 이상 돼먹지도 않은 녀석이라는 놀림을 당하지 않아도 될 뿐 아니라, 남들처럼 제대로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말 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노래도 더 잘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니 춤은 더 잘 출 수 있지 않겠는가!

그런데 아뿔싸! ‘황제의 강’은 몸에 일곱 개의 구멍이 생기자마자 그만 죽고 말았다. 친구에게 세상을 선물하려 했던 ‘빠름’과 ‘잠깐’은 아연실색할 수 밖에 없었다. 결국 그들은 황제의 강을 건너고 말았던 것이다.

현대 물리학자들의 사고와 고대인들의 사고가 크게 다르지 않음을 이 이야기를 통해서 알 수 있다. 물론 현대의 논리가 그들의 신화를 가로지를 수 없고 그들의 사고가 현대의 논리를 통과할 수는 없지만, 그 사고의 기저에 흐르는 바탕은 현대 물리학자들과 고대인들의 신화가 상통한다. 고대인들은 그들의 최선을 다해 인간과 세상과 우주를 설명하며, 그 속살을 해명하려 노력하였고, 첨단 물리학이 설명하고 있는 우주도 그들의 사고 범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음을 볼 때 이 점은 분명한 것 같다.

신화에 등장하는 ‘황제의 강’은 혼돈을 의미하고, ‘빠름’과 ‘잠깐’은 시간을 의미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몸에 구멍이 없지만, 가무를 즐기는 그의 속성과 현대 물리학의 첨단 ‘카오스 이론’은 공통 분모를 가지고 있다. 분화되지 않은 상태, 아직 무엇이 아닌 상태를 카오스, 즉 혼돈이라고 부를 때, ‘황제의 강’은 바로 그 혼돈과 다르지 않다. 혼돈이면서도 가무를 즐기는 ‘황제의 강’은 그러므로 무질서나 혼란스러움을 의미하지 않는다.

현대의 복잡성 과학은 복잡계 이론을 통하여 이점을 잘 보여준다. 우주는 차치하고라도 복잡한 자연현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인간은 수많은 시도를 거듭해 왔지만, 어떠한 이론도 만족할 만한 성과를 내지 못하였다. 뉴튼 이후 근대과학이 어느 정도 거시계를 설명하는데 성공했지만, 요소환원주의에 빠져 복잡한 자연현상과 복합적인 인간관계를 설명하는 데는 실패했다. 요소들이 관계를 맺을 때 발생하는 예측할 수 없고 전혀 새롭게 발생하는 현상을 ‘창발(Emergence)’이라고 한다. 한 요소의 미세한 움직임이 시간이 흐를수록 점점 거대한 흐름으로 바뀔 수도 있는데, 이런 결과를 ‘나비 효과(Butterfly Effect)’라고 한다. 이 두 개념이 복잡계 이론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일견 ‘복잡하여 설명하기 힘들거나, 무질서 해 보인다고 정말 그곳에 질서가 없는 것일까?’ 하는 의문에 대하여 드디어 답을 찾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예의 신화에서 ‘빠름’과 ‘잠깐’은 시간을 뜻하므로 그들은 시간의 질서에 속한 인간을 암시한다고 할 수 있다. 자연과 더불어 살던 사람들이 자연을 자신의 소유물로 여기게 되면서 가지게 된 인간 중심주의는 똑똑하고 분명하며 논리적이고 인위적인 것을 제멋대로인 것처럼 보이는 자연 보다 더 가치 있는 것으로 여기게 되었다. 개발되지 않은 자연을 참을 수 없게 되었다. 인간이 ‘무엇인가 있어야 하고, 줄을 세워야 하며, 일정해야 할 뿐만 아니라 논리적이어야 하고 효율적이어야 한다’는 제국주의적 생각에 휘둘리게 되면서 오히려 인간은 궁핍해졌으며, 더 무질서해지고, 혼란스러워졌다. 논리와 질서와 합리를 추구하는 인간이 ‘황제의 강’을 건너면서 결국 죽음을 자초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문제는 여전히 사람들은 ‘황제의 강’을 건너고 있다는 데 있다. 잘못임을 알았다면 더 이상 그 길을 가지 말아야 할텐데, 그렇지 못하고 개발과 질서와 효율과 억압을 계속하고 있는 한 인류에게 미래는 없다.

혼돈과 무질서, 뒤죽박죽인 것들을 뒤엎으려고만 하지 말고 그들이 창조적 힘의 원천임을 인정하자. 창발의 질서를 가지고 있음을 인정하자.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어둠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영은 물 위에 움직이고 셨다……하나님은 하늘과 땅과 그 가운데 있는 모든 것을 다 이루셨다(창1:2;2:1)

Comments:0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