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서당] 바울의 정치신학 1장: 로마서의 수신자
타우베스는 로마서의 도입부와 후반부를 분해해서 다른 편지들과 다른 점을 집중 분석한다.
- 예수가 세상을 다스리며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것이 고린도서와는 다르게 강조된다. -> 이것은 후반부 반전 밑밥인듯.. 타우베스도 로마의 카이사르를 언급만 하며 분위기만 띄움(…)
- 바울의 사도 자격은 당시 전반적으로 문제가 되었기 때문에 갈라디아서에서는 기존의 교회 체계와 그 사도들을 “사람에게서 받은 사도”라고 거의 공격조로 언급하면서 대신 자신은 예수와 하나님에게서 직접 받은 사도직이라고 자기 변호를 한다. 그렇지만 로마서에서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바울이 편지를 보낸 교회 중 로마 교회는 자신이 직접 세운 교회가 아니기 때문에 그렇게 공격적으로 나갈 수 없기 때문이었다. (그쪽에 더 많이 관여한 다른 사도들의 눈치를 본 듯) 대신 평소와는 달리 훨씬 길게 더 예수의 계보와 신성에 대해 기술 한 후 자신의 사도직은 한마디로 짧게
예수의 후광 뒤에 숨어서마무리한다. - 예수에 대한 설명도 다르다. 갈라디아서는 예수의 구원 사역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지만, 로마서는 예언자들과 성서(구약) 그리고 다윗, 이렇게 세가지 핵심 키워드를 언급하고 있다. 예레미야서의 문체를 흉내낸 것은 보너스.. 뭉뚱그리자면 갈라디아서는 (전통을 거의 배제한) “신약적인” 관점, 로마서는 유대인 신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요소를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그런데 이 밑밥도 더 이상 설명을 안 한다…)
- P.44 에 “소위 순방 여행이라는 픽션”이라는 너무 눈에 띄는 표현이 두번 나오는데 번역이 덜 된 듯. 자세한 것은 나중에 원문을 볼 필요가 있다. (원문의 표현이 애초에 모호한데다가 별로 중요하지 않아서 대충 넘겼을 가능성도 있음)
- 상기 1번에 나온 예수의 신성과 세상을 다스리는 왕이라는 언급이 담긴 편지를 로마의 교회에 보냈다는 것의 상징성. 당시 로마에도 편지 검열관들이 있었을 것이고 그들은 반란 시도등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편지를 열어보았을 가능성이 있다. 또는 정기적으로 이런저런 종교모임이나 사교모임에 가서 사람들이 무슨 말을 하는지 듣거나 (완전 열심히 일하는군?). 일반적으로 교회에 보내는 편지는 회당에서 공개적으로 낭독하게 된다. 그런데 그 편지에서 직설적으로 자신들의 신이 세상의 왕이니 하는 이야기가 담겨있는 것은 카이저와 로마제국에 대한 선전포고라는 해석을 바우어가 이미 했고 타우베스는 그에 대해 동의한다며 언급을 한다.
- 1장의 파트B에서는 바울이 예루살렘으로 가져가는 헌금이 다뤄진다. 타우베스는 이 부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디아스포라 유대교 공동체와 예루살렘의 유대교 공동체를 이해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며, 여러가지 역사적 사례를 동원해 이를 설명한다. 그리고 1세기부터 19세기에 이르기까지 유대교의 여러가지 종교 구조들 – 지리적 단위로 존재하는 종교 공동체(번역본에는 러시아 지부, 폴란드 지부 등으로 나옴), 유대인 중앙위원회 등 -의 오늘날 특성이 종교기관의 특성 상 바울 활동 당시에도 여전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 이 부분에 들어서면서 타우베스는 이따금 짜증을 내는데, 정황으로 봐서 이 학회 발표 이전에 타우베스는 당대의 신학자들과 여러가지 토론을 이미 했고 토론의 결과 신학 또는 초대 교회사를 연구한다는 사람들이 (본문에서: “이 사실[고대 유대인 그리스도교 공동체/세보메노이들의 당대 영향력]에 대해서 신학을 공부한다는
대가리머리들은 아무것도 모르고 있습니다!”) 정작 초기 교회의 사회문화적 하부 토대가 되는 유대교와 유대교 종교 기관의 특성에 대해 대충 알거나, 연구하기 편한 지역만 중심으로 연구를 하거나, 그냥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는 사실에한심당황했을 것으로 보인다.
…